조종사:We Are Pilots/계기항행절차57 CRITICAL HEIGHT CRITICAL HEIGHT - 계기접근절차가 공항의 지정된 고도 이하에서 계기에 의존하여 더 이상 안전하게 수행 될 수 없는 가장 낮은 고도 * CRITICAL HEIGHT의 예) * ICAO ANNEX 10 CAT I 의 활공각에서는 이 전계 강도는 활주로 말단이 포함되는 수평면 상공의 30m (100ft) 높이까지 내려올 때까지 제공되어야 한다. 시설 CAT II 및 III의 활공각에서는 이 전계 강도는 활주로 말단이 포함되는 수평면 상공의 15m (50ft) 높이까지 내려올 때까지 제공되어야 한다. 2020. 12. 8. CONTROL AREA / CONTROLLED AIRSPACE CONTROL AREA (ICAO) - 지구 위의 특정한 제한에서부터 상부로 확장되는 관제공역 CONTROLLED AIRSPACE - 공역의 등급에 따라 항공교통관제업무가 IFR과 VFR 비행에 제공되도록 설정된 입체공역 - 관제공역은 A, B, C, D, E로 분류된 ATS 공역을 망라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 항공정보간행물 항공교통업무 공역등급 A 등급 - 관제공역 인천비행정보구역(FIR) 내 평균해면 20,000피트 이상 평균해면 60,000피트 이하의 항로(Airways) 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공고한 공역이다.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가 없는 한 계기비행규칙(IFR)에 의하여 비행하여야 하며, 조종사는 계기비행면허/자격을 소지하여야 한다. * 항공법 시행규칙 제184조 (시계비행의 금지) ① 시계비.. 2020. 12. 8. COMPULSORY REPORTING POINTS COMPULSORY REPORTING POINTS - ATC에 반드시 보고해야 하는 지점 - 항로지도에는 채워진 삼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비행계획서 안에는 직진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선택된 FIXES로 기록된다. 이 점들은 항법보조시설/지점에 의해 설정되는 지리적인 위치이다. 조종사는 ATC가 그 항공기를 RADAR CONTACT이라 알려오면 필수보고지점 상공에서 위치보고를 중단하여야 한다. * ATC가 “Direct 000 Fix”라고 지시하면, 그 Fix는 필수보고지점 (Compulsory Reporting Points)된다. Reporting Procedure * Radar/Non-radar Report For example, you should notify ATC if you are unab.. 2020. 12. 5. CLOUD OF OPERATIONAL SIGNIFICANCE CLOUD OF OPERATIONAL SIGNIFICANCE - 5000ft 또는 가장 높은 Minimum Sector Altitude 중 큰 것 아래의 Cloud Base의 높이를 가진 구름 또는 어떤 고도에서든 적란운(CB) 또는 탑적운(TCU) CAVOK (Ceiling And Visibility OK) - 시정 10 km 이상 - 운항 상 중요한 구름이 없을 때(5000ft 이하) 강수,대기물 • 먼지현상, 뇌우 등 중요일기가 없을 때 NSC (Nil Significant Cloud) - 운항 상 주요한 구름이 없고 - 수직시정에 제한이 없으나 - "CAVOK" 약어 사용이 부적절 할 경우 사용 CAVOK : Ceiling and Visibility OK - Visibility : more tha.. 2020. 12. 5. CHANGE OVER POINT (COP) CHANGE OVER POINT (COP) - VOR로 구성된 ATS 경로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후방의 시설로부터 전방의 시설로 기본 항행 목표를 전환해야하는 지점 NOTE : COP는 항로 구간의 동의 부분을 따라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들을 위해 Azimuth Guidance의 공통 Source를 모든 고도에서 사용되어지고 보장되도록 시설물들 사이에서 신호 강도 및 질에 관해 최적의 균형을 제공하도록 수립되었다. CHANGE OVER POINT (COP) 선정 목적 1. 항법 신호 수신 보장 2. 다른 항공시설국 간섭 방지 3. 동일 지역에서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 동일 항법시설 사용 2020. 12. 4. CEILING CEILING (USA) - 지구표면에서 가장 낮은 구름층 또는 차폐 현상의 높이로 덮힌 현상을 Broken, Overcast, Obscuration으로 보고하나 Thin이나 Partial로는 분류하지 않는다. Sky Condition The amount of clouds covering the sky is reported in eighths, or octas, of sky cover. If the sky is clear, it is designated by SKC in a manual report and CLR in an automated report. Since an automated station cannot detect clouds above 12000 feet, a report clear ind.. 2020. 12. 4. CATCH POINT / PITCH POINT / Q-route / T-route CATCH POINT - 고고도 Waypoint 항법구조로부터 저고도 구조로 또는 Arrival Procedure (STAR)로의 전이 Point로 사용되는 Fix/Waypoint PITCH POINT - 출항 절차 또는 저고도 지상 근간의 항법구조로부터 고고도 Waypoint System으로의 전이점으로 사용되는 Fix/Waypoint. Q routes (high) are available for use by RNAV equipped aircraft between 18,000 feet MSL and FL 450 inclusive. Q-routes are depicted on Enroute High Altitude Charts. T-routes (low) are available for use by RN.. 2020. 12. 4. BRAKING ACTION BRAKING ACTION (GOOD, FAIR, POOR, NIL) - 조종사에게 조종사가 예측할 수 있는 BRAKE의 정도/질로 제공되는 공항 이동지역의 상태 보고 * AIM - Brake Action 보고 및 조언 관제사가 “poor" 또는 "nil " 포함한 활주로 제동 효과 보고를 받았을 때 또는 가상조건이 활주로 제동 상태를 급격히 변화시키거나 악화 시킬 수 있는 기상 조건일 때 ATIS방송에“BRAKING ACTION ADVISORIES ARE IN EFFECT" 문구를 포함한다. * The tires no longer contribute to directional control and braking action is nil. * Measured Coefficient/Estimated Bra.. 2020. 11. 17. AUTOMATED SURFACE OBSERVATION SYSTEM (ASOS) AUTOMATED SURFACE OBSERVATION SYSTEM (ASOS) - 미국 내에서 ASOS는 국가 기상업무국, 연방항공국과 국방성에 의해 권한을 위임받은 지상기상관측체계이다. 이것은 항공 운영과 기상예보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ASOS는 지속적인 분 단위 관측사항을 제공하고, 일상적인 항공기상보고(METER)와 다른 항공기상정보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관측기능을 수행한다. ASOS 정보는 별도의 VHF RADIO 주파수 또는 국지 항법보조시설의 음성부분을 타고 전송된다. * ASOS의 최대 수신거리는 25NM / 10,000FT (AGL) * ASOS가 ATIS와 다른 점은 1분마다 기상업데이트와 Data Link에 의한 D-ATIS를 제공한다. AUTOMATED METEOROLO.. 2020. 11. 16.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ADS)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ADS) - Data Link 및 항공기 탑재 항법 및 위치 고정 System을 통하여 항공기 식별, 4차원의 위치 및 적절한 추가적인 자료 등을 포함하여 항공기가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감시 기술 ADS의 목적은 VHF통신 주파수의 혼잡을 덜고 아울러 전반적인 공역의 이용과 효율 및 안전을 증진하기 위하여 항공기의 자동감시를 지원하는데 있다. ADS는 항공기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INS, IRS 등으로 탐지한 위치 정보를 인공위성을 통하여 지상의 관제소에 전송하면 지상의 관제소는 이를 분석하여 레이더와 유사하게 항공기의 편명, 위치, 고도, 속도 등을 스코프에 나타내게 된다. 항공기는 위.. 2020. 11. 16. AREA NAVIGATION / RNAV AREA NAVIGATION / RNAV - 장착된 장비 능력의 범위 이내 (limits of self-contained system capability) 또는 항법 참조 STATION의 항법신호 수신범위 내에서 원하는 방위로 항공기 운항이 허용되는 항법의 한 방법 * IRS ( Inertial Reference System ) : Laser Gyro INS ( Inertia Navigation System ) : 기계식 Gyro * 구 좌표체계 (WGS-72) 이 좌표체계는 각 국가에 해당되는 지역별 원점 (Datum Line) 을 기준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방법 (한국의 경우 Tokyo Datum Line) 으로 지역에 따라 최대 400M 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신 좌표체계 (WGS-.. 2020. 11. 14. APPROACH BAN APPROACH BAN - 보고된 시정 및 RVR이 그 접근을 위해 규정된 Minimurn 아래라면 Approach의 계속이 특정 지점 또는 특정 고도를 지나는 것이 금지된 Approach Procedures * 시행규칙 제186조의2 (계기비행방식 등) ② 조종사는 비행시정이 착륙하려는 비행장의 계기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 미만인 경우에는 착륙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군에서 사용하는 비행기 등 및 미합중국이 사용하는 비행기 등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운항기술기준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의 착륙 가. 조종사는 비행시정이 해당 표준계기 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치 미만인 경우 착륙을 시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착륙하고자 하는 활주로(또는 헬기장)의 시정 보고치 또는 활주로가시거리(RVR)가 설정된 최저치 미.. 2020. 11.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