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종사67

V SPEED의 종류 - IAS ( Indicated Airspeed ) : 계기속도 - CAS ( Calibrated Airspeed ) : 수정속도 - EAS ( Equivalent Airspeed ) : 대등속도 - TAS ( True Airspeed ) : 진대기속도, 1,000ft당 IAS의 2%씩 증가 - GS ( Ground Speed ) : 대지속도 * 고도와 온도 상승 시 TAS 는 증가한다. * EAS는 20000ft, 200kts이 상에서 공기 압축과 외기온도 상승으로 실제속도가 빨라져서 F-Factor를 적용 * 속도의 정의 가. V1 : TAKE OFF DECISION SPEED 이륙 중 ONE ENGINE FAILURE 시,이륙해서 35 FT고도가 될 때 까지 거리가 사용이륙거리를 초과하지 않거나,R.. 2020. 11. 9.
AIRCRAFT APPROACH CATEGORY (USA TERPS / ICAO) AIRCRAFT APPROACH CATEGORY (USA TERPS)- 명시된다면 Vref의 속도에 근거를 둔 항공기 그룹 또는 Vref이 명시되지 않는다면, 최대인가착륙중량에서의 1.3배의 Vso. Vref, Vso 및 최대인가착륙중량은 항공기 등록국의 인가당국에 의해 항공기를 위해 설정한 수치들이다.  항공기는 단지 1개의 Category 안에 들어가야 한다. 만일 한 등급을 위한 속도 범위의 상한선을 초과한 속도에서 기동이 필요하다면 그 다음의 높은 등급의 최소치가 사용되.. 2020. 11. 8.
TODA (TAKE-OFF DISTANCE AVAILABLE) / TORA (TAKE-OFF RUN AVAILABLE) : 이륙가용거리 / 이륙활주가용거리 TODA = Runway + Clearway TAKE-OFF DISTANCE AVAILABLE (TODA : 이륙가용거리) - 이용 가능 이륙활주로의 길이에 Clearway가 제공되면 이 길이가 합해진 길이 TORA = Runway TAKE-OFF RUN AVAILABLE (TORA : 이륙활주가용거리) - 항공기의 이륙활주를 위해 사용 가능하고 적합하다고 공시된 활주로의 길이 * 공시거리(Declared Distance)란 이륙활주가용거리 (TORA), 이륙가용거리 (TODA), 가속정지 가용 거리 (ASDA),착륙가용거리 (LDA)를 말한다. * LDA는 TORA와 같거나 Displaced Threshold가 있는 활주로에서는 이착륙 방향에 따라 TORA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2020. 11. 8.
대권과 소권 1. 대권(Great Circle) : 지구의 중심을 통하는 평면이 지표면과 마주치는 선 - 지표면 상 두 지점 간 최단거리, 지구의 중심을 통하는 평면이 지표면과 마주치는 원으로 무수히 많으며, 지구를 완전히 두 개로 분할 - 모든 자오선(경도선), 적도, 지구중심을 자르는 모든 Arc(호) - 자오선 (Meridian) : 양극을 통과하는 대권 - 본초 자오선 (Prime Meridian) : 영국 Greenwich 천문대를 통과하는 자오선으로 경도측정의 기준이 됨 2. 대권항로(Great Circle Course) - 두 지점 간 최단거리 비행이며 각 자오선과 다른 각도로 교차하므로 항법이 어렵다 - 항로 유지위한 방위가 계속 변하므로 항법이 곤란 - 주로 200NM 이상 장거리 항법에 사용 - 항.. 2020. 11. 5.
지도 및 CHARTS (좌표 체계) ※ 위치와 좌표 1. 표면상 서로 교차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위치 표시 2. 좌표는 지구상에 정해놓은 기준으로부터의 지점 3. 위도의 기준은 적도. 경도의 기준은 분초자오선 ⦁ 항법의 4요소 : 위치, 방향, 거리, 시간 - 위치란 명백히 규정되거나 함축되어진 좌표에 의해 정의되어진 지점 (항상 확인되어질 수 있는 지점) - 방위란 두 지점 사이에 거리의 참조 없이 공간에 관계된 한 지점의 위치 (방위 자체가 각도는 아님) - 시간은 첫 번째는 시각이고 두 번째는 경과된 시간 ⦁ 지구의 크기와 모양 - 항법의 목적 상 지구는 완전한 구면체로 가정 (적도직경이 극직경보다 1/295만큼 큼) 위도 위도 1분의 길이 경도 1분의 길이 0° 1,843m 1,855m 30° 1,848m 1,608m 60° 1,.. 2020. 11. 5.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ATC SYSTEM) 1. 항공 교통 서비스 가. 항공 교통 관제(Air Traffic Control) ⇒ ATC Service - 공중 충돌을 방지하고 항공 교통의 흐름을 규칙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지상관제소 → 항공기에 제공되는 서비스 나. 조언 서비스(Advisory Service) -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행 운영을 위해 유용한 항공정보를 제공 다. 경보 서비스(Alerting Service) - 탐색 및 구조 도움 필요로 하는 항공기를 적절한 기구에 알리기 위해 제공되고 필요로 하는 기구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 2. 공역 가. 통제되는 공역(Controlled Airspace) 항공 교통 통제가 제공되는 범위 내의 한정된 공간의 공역 나. 항로(Airway) Radio 항법장비에 의해 정의된 회랑 형식의 설정된 .. 2020. 11. 5.
공중항법 1. 어원 Navigator = Navis(선박) + Agere(방향을 정하다 이동하다) = 항공기를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 넓은 의미에서 항공기는 방향 또는 방향을 잡는 능력이 요구되는 물체 = Aviation, Aerial Navigation, Air Navigation 2. 공중항법의 특성 ⇒ 특정한 위치 또는 지점에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항공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른 지점으로 이끌어 가는 기술. (즉, 비행 전 모든 것을 계획하고 준비하며, 비행을 하면서 수정하여 안전하게 목적지에 착륙 하는 단계까지를 의미) 가. 지속적인 이동의 필요성 나. 제한된 항속시간 다. 고속 라. 기상의 영향 3. 항법의 시작 ⦁ 초기 미숙한 형태의 Dead Reck.. 2020.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