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종사:We Are Pilots/공중항법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ATC SYSTEM)

by Maverick 2020. 11. 5.
반응형

1. 항공 교통 서비스
가. 항공 교통 관제(Air Traffic Control) ⇒ ATC Service
- 공중 충돌을 방지하고 항공 교통의 흐름을 규칙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지상관제소 → 항공기에 제공되는 서비스
나. 조언 서비스(Advisory Service)
-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행 운영을 위해 유용한 항공정보를 제공
다. 경보 서비스(Alerting Service)
- 탐색 및 구조 도움 필요로 하는 항공기를 적절한 기구에 알리기 위해 제공되고 필요로 하는 기구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

 

2. 공역
가. 통제되는 공역(Controlled Airspace) 항공 교통 통제가 제공되는 범위 내의 한정된 공간의 공역
나. 항로(Airway) Radio 항법장비에 의해 정의된 회랑 형식의 설정된 통제공역
다. 보조항로(Advisory Route) 항공 교통 보조 서비스가 가용 가능한 항로와 유사한 통제되지 않은 공역
라. 통제구역(Control Zone) 지면에 표시된 지역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통제된 공역
마. 비행정보 제공지역(Flight Information Regions) : FIR
    조언서비스와 경보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범위에서 정의된 공역
    FIR은 ICAO 지역의 기본적인 분할 구역. 몇몇 국가는 UIR(Upper Information Regions)
바. 적극 통제지역(Positive Control Area : PCA)
     MSL 18,000FT~60,000FT 까지의 모든 공역으로 IFR만 적용
     PCA 내에서 운영되는 모든 항공기는 조종사와 관제사 사이의 통화를 유지할 수 있는 Radio장비,
     적용 가능한 항법 보조 장비 그리고 Mode-3 내장된 송수신기를 갖추어야 함
사. 터미널 관제지역(Terminal Control Area : TCA)
     주요한 비행장 지역 주변에 설계된 공역

 

3. 항공 교통 서비스 기구(Air Traffic Service Control Center : ATSCC)
가. 항로 교통 관제소(Air Route Traffic Control Center : ARTCC)
     관제 공역 안에서 IFR 비행 항적에게 항공교통관제를 제공
나. 접근 관제(Approach Control) :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항공기에 제공
다. 비행장 관제탑(Aerodrome Control Tower) : 비행장 항적에 대해
라. 비행 서비스 기구(Flight Service Station): FAA에 의해 운영되며 비행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제공

 

4.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국제 민간 항공 기구
⦁ 1947년 4월 항공 교통 관제를 위한 국제적 규정을 위해 설립
⦁ ICAO는 UN 산하기관으로 회원인 국가는 ICAO 규정과 절차 준수

 

5.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연방 항공 기구
⦁ 미국내에서의 항공 교통 서비스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1958년 미 연방 조약에 의거

 

6. 비행계획
㉮ 항로 결정(Route Determination)
- 시간과 연료의 절약을 위해 직항로가 최선이지만 높은 지형, 악기상, 바람의 방향의 영향으로 최적의 항로 선택
㉯ 지도 결정(Chart Selection) 비행 할 거리, 속도, 항법방법, 지도의 정확성
⑴ 총 비행거리
대권은 두 지점 사이에 최단거리, 해시계법 지도(Gnomonic Chart)의 직선은 대권항로
⑵ 항법의 방법과 차트(Chart and Method of Navigation)
목표지역, 임무지역, 항법 종류에 따른 지도 축척 결성
⑶ 속도 : 지도의 축척은 항공기의 속도와 반대로 선정
⑷ 지도의 최신화(Chart Currency)
㉰ NOTAM : 가장 최근에 비행 제한 사항, 공항시설이나 서비스의 신뢰성, 항로상의 위험요소, Radio 보조장치 등의 정보 제공

 

7. 항로
IFR 조건하의 항공 교통 관제와 항법을 수월히 실시하기 위해 공역 안에 정해 놓은 국가에 의해 설정된 회항

가. 예비기지
나. 비상 착륙 기지
다. 장애물
라. 특수 비행 공역

반응형

'조종사:We Are Pilots > 공중항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권과 소권  (0) 2020.11.05
지도 및 CHARTS (좌표 체계)  (0) 2020.11.05
항법의 종류 #표 정리  (0) 2020.11.03
공중항법  (0) 2020.11.03

댓글